본문 바로가기

봄꽃3

스노우볼(스노볼) 비부르눔, 불두화, 불두화 꽃말, 수국과의 차이점 스노우볼(스노볼) 비부르눔(Viburnum Snow Ball, Arrowwood) 수국백당나무 혹은 불두화라고도 불리며 인동과 산분꽃나무속과다. 학명은 Viburnum sargentii(Viburnum opulus ''sterile’’)이고 비부르눔 스노우볼(Viburnum Snow Ball)이 정식 명칭으로 일반적으로 스노우볼이라고 통용된다. 백당나무를 개량한 종으로 언뜻 보면 수국과 매우 비슷해서 수국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수국보다 크기가 작고 수많은 작은 꽃이 둥근 공의 형태로 가지 끝에 달린다. 개화가 막 시작될 때는 황록색이나 시간이 지나면서 꽃이 점점 흰색으로 변해간다. ‘스노우볼’이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흰색의 작은 꽃들이 한덩어러의 공 모양으로 만발한다. 한국에서는 꽃의 모양이.. 2023. 2. 26.
무스카리 꽃말, 수경 재배, 재배시 유의 사항 무스카리 (Bluebell, Grape hyacinth) 무스카리(Muscari: Muscari botryoides)는 비짜루과에 속하는 구근 식물이다. 무스카리는 원산지는 지중해, 유럽, 북부 아프리카, 아시아를 포함해 세계 곳곳에 분포한다. 초봄을 알리는 구근식물로 잎은 가늘게 자라며 흰색, 녹색, 파란색의 꽃이 피는데 포도 히아신스라는 영어 이름처럼 중앙 줄기의 끝에 3~5mm의 작은 꽃들이 나선형으로 작은 포도송이처럼 형성된다. 꽃의 색상과 모양이 개량되어서 분홍색 등 다양한 색깔과 꽃의 모양 역시 다양하게 무스카리를 즐길 수 있다. 꽃의 향기가 매우 진하고 좋은 무스카리의 속명은 Muscari로 그 어원은 그리스어 moschos(사향)에 있다. 꽃의 향기가 사향과 비슷해서 붙여진 것으로 추측된다.. 2023. 2. 25.
수선화 재배, 수경 재배, 꽃말, 주의 사항 수선화(Daffodil, Narcissus) 수선화의 학명인 Narcissus는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나르시시스트의 어원이기도 하다. 그리스 신화에서 물에 비친 자신의 외모에 빠져서 죽은 미소년의 이름이 나르키소스로 그 자리에서 노란색 꽃이 자랐는데 이것이 수선화였다고 전해진다. 한국어로 수선화는 물에 사는 선녀 혹은 신선을 의미한다고 한다. 물가에 피는 신선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수선화는 물가에서 주로 자란다. 수선화는 16세기쯤부터 영국과 네덜란드에서 야생의 원종을 채취해서 교배 품종을 육성했다고 전해진다. 품종 개량으로 인해 현재는 약 2만여 종의 수선화가 있다. 수선화는 설중화라고도 불리우는데 이것은 겨울에 피는 꽃이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슬람교에서 수선화는 매우 중요한데 무함.. 2023.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