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스카리 꽃말, 수경 재배, 재배시 유의 사항

by 아베크플라워 2023. 2. 25.

무스카리 (Bluebell, Grape hyacinth)

 

무스카리(Muscari: Muscari botryoides)는 비짜루과에 속하는 구근 식물이다. 무스카리는 원산지는 지중해, 유럽, 북부 아프리카, 아시아를 포함해 세계 곳곳에 분포한다. 초봄을 알리는 구근식물로 잎은 가늘게 자라며 흰색, 녹색, 파란색의 꽃이 피는데 포도 히아신스라는 영어 이름처럼 중앙 줄기의 끝에 3~5mm의 작은 꽃들이 나선형으로 작은 포도송이처럼 형성된다. 꽃의 색상과 모양이 개량되어서 분홍색 등 다양한 색깔과 꽃의 모양 역시 다양하게 무스카리를 즐길 수 있다. 꽃의 향기가 매우 진하고 좋은 무스카리의 속명은 Muscari로 그 어원은 그리스어 moschos(사향)에 있다. 꽃의 향기가 사향과 비슷해서 붙여진 것으로 추측된다. 무스카리는 키가 작지만 꽃의 색이 선명해 정원의 초입과 앞, 바위 밑에 주로 심는다. 백합과의 구근 식물이기에 고양이를 키우는 집에서는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수액에 독성이 있어 다른 동물에게도 좋지 않다. 크기가 크지 않고 향기가 나는 꽃이기에 봄에 대표적인 플랜테리어 식물로 인기가 매우 좋다. 화분이나 입구가 넓은 화기에 무스카리, 수선화, 히아신스, 별꽃 등을 함께 배치하고 그 위에 이끼로 덮어주면 거실이나 집 안에서 봄을 느낄 수 있다. 혹은 투명한 용기에 수경재배도 가능하다.

 

 

꽃말

청초한 꽃과는 달리 꽃말은 실망, 실의 이다. 

관대한 사랑, 말하지 않아도 통함, 나의 마음 이라는 꽃말도 있다.

 

개화 시기

쌀쌀한 가을에 구근을 심으면 4~5월쯤에 꽃이 핀다.

 

재배 시 주의할 점

무스카리는 과습만 주의하면 사실 키우는데 손이 거의 가지 않아 초보자도 쉽게 키울 수 있다. 무스카리 구근은 9월 말에서 10월 초에 심으면 다음 해 2~3월에 꽃을 볼 수 있다. 서늘한 가을에 식재하고 땅이 마르면 물을 준다. 구근류이기에 과습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키는 크지 않고 작지만 추위에 매우 강한 편이다. 물 빠짐이 좋은 토양이 좋고 화창하고 햇빛을 잘 받을 수 있는 양지가 좋지만, 반그늘에서도 잘 견디는 편이다. 꽃이 피고 난 후에는 꽃대는 제거해야 하지만 잎은 제거하지 말고 스스로 떨어질 때까지 기다려주면서 구근에 양분을 주어 키운다. 구근을 냉장고에 보관하면 과일에서 나온 에틸렌 가스에 의해서 구근이 꽃을 볼 수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구근을 캐서 서늘한 곳에 보관하거나 흙 속에서 보관하면 된다. 무스카리는 구근 번식도 가능하고 씨앗 번식도 가능하다. 어미 구근에 작은 구근들이 자라는데 이런 작은 구근은 2~3년을 더 키워야 꽃을 볼 수 있다. 무스카리끼리 모아서 심어도 매우 귀엽고 다른 키가 큰 구근 식물인 수선화나 튤립과 함께 식재해도 잘 어울린다. 

 

수경재배

흙에서 무스카리를 꺼내 뿌리가 다치지 않게 흙을 조심히 털어준다. 그리고 물에 뿌리를 2~3시간 담가둔 후 뿌리를 조심히 씻어준다. 뿌리에 흙을 깨끗하게 제거해야 세균 증식을 막을 수 있다. 이때 상하거나 무른 뿌리를 제거해주는 것이 좋다. 화기에 돌이나 자갈을 넣어 구근에 물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해준다. 물은 자주 갈아주는 것이 좋고 특히 흙과 같은 부유물이 떠다니면 바로 갈아주어야 한다. 정수기 물은 안되고 수돗물을 반나절이나 하루 정도 두어 염소 성분을 날린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무스카리 고르는 법

꽃시장에서 무스카리의 유통 시기는 9월부터 6월 정도까지로 한여름을 제외하고 자주 볼 수 있는 꽃이다. 그러나 아무래도 산뜻한 색과 작고 귀여운 꽃으로 봄에 주로 사용한다. 절화로도 구매가 가능하고 구근이 있는 상태로도 유통된다. 다만 절화 무스카리는 꽃이 개화하는 시기가 길지 않다. 파란색과 독특한 꽃의 모양으로 부케로도 사용되지만 정원이나 화분에 심는 것도 인기 있다. 특히 수선화와 함께 식재하거나 어레인지한다. 무스카리를 고를 때에는 꽃과 꽃 사이에 빈틈이 없고 신선한 것을 고르는 것이 좋다. 관상 기간은 5~7일 정도이고 물올림은 물속 자르기를 하는 것이 좋다. 햇빛이 약하면 웃자라기에 햇빛이 충분한 창가 쪽에 두는 것이 좋다. 

댓글